【베이비뉴스 이유주 기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작성일25-06-08 20:35 조회82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베이비뉴스 이유주 기자】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는 지난달 8일 이재명 당시 후보가 참석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중앙선대위 직능본부와 정책협약을 체결했다.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회장 김경숙, 이하 한어총)는 5일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하며, "하나되는 유보통합. 두배되는 아이행복, 아이 부모 교사 모두가 행복한 유보통합 추진과 보육료 증액 추경 편성"을 촉구했다.이어 제21대 대통령선거 더불어민주당 정책공약인 "경영난에 처한 어린이집의 기능 전환으로 부족한 복지인프라를 확충, 어린이집 등 과잉 복지시설의 기능 전환 등 구조조정 계획을 수립하고, 교육 보육의 질을 높이는 정부책임형 유보통합 추진하라"고 요구했다.한어총은지난달 8일 이재명 당시 후보가 참석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중앙선대위 직능본부와 정책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이달 21일에는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선거 선대위 산하 먹사니즘위원회 보육위원회와, 30일에는 조직본부 교육위원회와 각각 정책협약을 맺은 바 있다.양 측은 부모가 안심하고, 영유아가 행복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교사 1인당 영유아 수 감축, 양질의 급간식비 지원 확대 등에 힘쓰기로 했다. 또한, 효율적인 보육 행정을 위한 행정공무원 배치 및 충원, 모든 영유아에게 동등한 비용 지원을 위한 유보 재정 확대 등에도 공동 노력하기로 했다.아울러 유보통합 관련법 제·개정을 위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 유보통합을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관련 법령의 제·개정과 통합 법체계 마련을 위해 다양한 이해 관계자 간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데 적극적으로 함께할 예정이다.한어총 김경숙 회장은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어린이날을 맞아 어린이가 존중받는 나라, 아이들이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들고 모든 어린이가 건강하게 자랄 권리를 보장하겠다고 밝힌 바 있기에 아이와 부모, 보육교직원 모두가 행복한 유보통합을 완성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어린이집은 올해 보육료 동결로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보육료 증액 추경 편성을 새로운 정부에 강력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한편, 한어총은 전국 어린이집을 대표하는 사단법인으로 국공립어린이집분과위원회, 사회복지법인어린이집분과위 혈압 조절을 위해서는 연어, 아보카도 등 칼륨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는 게 좋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는 것보다 칼륨 섭취량을 늘리는 것이 혈압 조절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워털루대 연구팀이 수학적 모델을 활용해 칼륨과 나트륨 비율이 신장, 심혈관, 위장관 등 신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시뮬레이션했다. 분석 결과, 칼륨 섭취량이 늘면 나트륨을 정상 혹은 많은 양을 섭취하더라도 혈압이 낮아졌다. 연구팀은 성별에 따른 반응 차이도 분석했다. 남성이 여성보다 칼륨 섭취량에 따른 혈압 조절 효과가 높았다. 나트륨을 과다 섭취하면 혈압이 상승하고 혈관 손상을 유발한다. 칼륨은 이와 반대로 혈관 벽을 이완시켜 혈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혈압을 낮춘다. 칼륨은 신장에서 나트륨 체외 배출을 유도하는데 직접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칼륨 섭취량이 늘면 나트륨 잔류량이 줄어든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은 칼륨 대 나트륨을 2대 1 비율로 섭취하는 게 이상적이라고 권고했다. 연구를 주도한 아니타 레이튼 박사는 “미국심장협회(AHA)가 권고하는 일일 나트륨 섭취량인 1500~2300mg 수준으로 섭취를 제한하고 칼륨은 4700mg 이상 섭취하면 된다”며 “칼륨은 보충제가 아닌 천연식품으로 섭취하는 게 바람직하다”라고 말했다.칼륨은 콩류, 감자, 시금치, 바나나, 연어 등에 풍부하다. 섭취량을 갑자기 늘리면 복부 팽만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 섭취량을 점진적으로 늘리는 게 좋다. 단, 이번 연구 결과는 임상시험이 아닌 수학적 모델을 활용한 인체 생리 근사값이라는 한계가 있다. 과도하게 일반화하기보다 전문가와 상담 후 자신의 건강 상태에 맞는 칼륨 대 나트륨 균형을 찾는 게 바람직하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Renal Physiology’에 최근 게재됐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