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민주당의 새 대표가 이번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작성일25-07-31 22:25 조회37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평택입주청소
[앵커] 민주당의 새 대표가 이번 주말 정해집니다. 앞선 권역별 당원 투표에서 우위를 점한 정청래 후보는 대세를 굳히겠단 각오지만, 박찬대 후보는 막판 뒤집기를 목표로 추격의 고삐를 바짝 죄고 있습니다. 윤웅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당권 주자인 정청래·박찬대 후보는 한미 관세협상 타결 소식에 나란히 SNS에 환영한다는 글을 올렸습니다. 정 후보는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최혜국 대우를 받았다고 협상 결과를 치켜세웠고, 박 후보도 정부가 협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해 우리 기업들이 공정하게 경쟁할 발판을 마련했다고 높이 평가했습니다. '디데이'가 다가오면서, 두 후보는 온라인으로 지지자와 소통을 더 강화하는 모습입니다. 표심 반영 비율은 권리당원 55%, 국민 여론조사 30%, 대의원 15%입니다. 1만 6천여 명에 불과한 대의원의 한 표가 권리당원 17표와 맞먹는 만큼, 승부는 뚜껑을 열어봐야 알 수 있습니다. 전국적 수해로 순회 경선 대신 '원샷'으로 바뀐 전당대회 일정 역시 최대 변수입니다. 정 후보는 충청, 영남권 권리당원 투표에서 잇달아 60% 넘는 지지율로 압승을 거둔 만큼, '어차피 대표는 정청래'라는 대세론이 굳어졌다고 보고 있습니다. [정청래 / 민주당 당 대표 후보: 지금의 당심이라는 것이 지역과 크게 상관이 없다. 충남과 영남이 투표율은 좀 달랐지만, 득표율은 어쩌면 이렇게 정확할까? 자로 잰 듯.] 반면, 박 후보는 권역별 경선이 연기된 사이 전국 곳곳을 누비면서 인지도를 쌓은 만큼 역전승이 가능하다고 강조합니다. [박찬대 / 민주당 당 대표 후보: 숫자에 잡히지 않는 결심, 조용히 번져가던 마음이 지금 골든 크로스를 만들고 있습니다.] 막바지 선거 전략도 뚜렷하게 갈립니다. 정 후보는 수해와 산업재해 예방 관련 법안을 잇달아 발의하며 '일하는 당 대표'로 막판 스퍼트를 내고 있고, 박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를 막아선 국민의힘 의원들 제명 촉구안을 발의하는 등 맹렬하게 싸우는 이미지로 뒤집기를 노립니다. '원샷 경선'으로 바뀐 탓에 성적표도 못 보고 2주간 달린 두 후보, 이재명 정부의 첫 여당 대표는 누가 될 바다 사막화의 주범으로 여겨지는 불가사리를 잡아먹어 ‘생태계의 수호자’로 불리는 나팔고둥이 ‘8월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선정됐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제공 해저가 황폐해지는 ‘바다 사막화’의 주범으로 여겨지는 불가사리를 잡아먹어 ‘생태계의 수호자’로 불리는 나팔고둥이 ‘8월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선정됐다. 나팔고둥은 과거 아름다운 껍데기와 풍부한 육질로 관상용·식용으로 인기를 끌었는데, 남획으로 개체 수가 급감해 현재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어 있다.31일 환경부는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대형 연체동물인 나팔고둥을 ‘이달의 야생생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나팔고둥이란 이름은 과거 조선 시대 왕실 행차나 군대 행진 때 사용되던 전통악기 ‘나각’이 이 고둥의 껍데기를 활용한 데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다.나팔고둥 성체 크기는 껍데기 높이(각고) 약 22㎝, 폭(각경)은 약 10㎝로 우리나라 고둥류 가운데 가장 크다. 껍데기는 단단하고 두꺼우며 표면은 황백색 바탕에 적갈색 무늬가 불규칙하게 퍼져있는데, 몸체 밖으로 나오는 각구(고둥류 연체동물 몸체가 껍데기 밖으로 나오는 부분) 부분에 흑갈색 띠무늬와 주름, 백색 돌기가 뚜렷하게 나타나 다른 식용 고둥류와 구별된다. 불가사리는 별다른 천적이 없어 바다 사막화의 요인으로 꼽히는데, 나팔고둥은 하루에 한 마리 이상의 불가사리를 포식해 해양생태계의 먹이 사슬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립생태원 제공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남해안 연안의 수심 20~200m 사이에 주로 분포하고, 낮은 수심에서는 암반 위에서 주로 관찰된다. 자웅이체로 암수가 나뉘어 있지만 맨눈으로 구별하기는 어렵다. 체내수정을 하고 산란은 12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 이뤄진다.불가사리에 잡아먹히는 다른 고둥류와 달리 나팔고둥은 불가사리를 주요 먹이원으로 하며, 제주도에서는 빨강불가사리를 주로 잡아먹는다. 불가사리는 별다른 천적이 없어 바다 사막화의 요인으로 꼽히는데, 나팔고둥은 하루에 한 마리 이상의 불가사리를 포식해 해양생태계의 먹이 사슬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왼쪽위부터 나팔고둥, 각시수염고둥, 관절매물고둥, 매끈이고둥. 나팔고둥은 각구에 흑갈색 띠, 주름, 백색 돌기가 명확해 다른 고둥과 구별된다. 국립생물
평택입주청소
[앵커] 민주당의 새 대표가 이번 주말 정해집니다. 앞선 권역별 당원 투표에서 우위를 점한 정청래 후보는 대세를 굳히겠단 각오지만, 박찬대 후보는 막판 뒤집기를 목표로 추격의 고삐를 바짝 죄고 있습니다. 윤웅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당권 주자인 정청래·박찬대 후보는 한미 관세협상 타결 소식에 나란히 SNS에 환영한다는 글을 올렸습니다. 정 후보는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최혜국 대우를 받았다고 협상 결과를 치켜세웠고, 박 후보도 정부가 협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해 우리 기업들이 공정하게 경쟁할 발판을 마련했다고 높이 평가했습니다. '디데이'가 다가오면서, 두 후보는 온라인으로 지지자와 소통을 더 강화하는 모습입니다. 표심 반영 비율은 권리당원 55%, 국민 여론조사 30%, 대의원 15%입니다. 1만 6천여 명에 불과한 대의원의 한 표가 권리당원 17표와 맞먹는 만큼, 승부는 뚜껑을 열어봐야 알 수 있습니다. 전국적 수해로 순회 경선 대신 '원샷'으로 바뀐 전당대회 일정 역시 최대 변수입니다. 정 후보는 충청, 영남권 권리당원 투표에서 잇달아 60% 넘는 지지율로 압승을 거둔 만큼, '어차피 대표는 정청래'라는 대세론이 굳어졌다고 보고 있습니다. [정청래 / 민주당 당 대표 후보: 지금의 당심이라는 것이 지역과 크게 상관이 없다. 충남과 영남이 투표율은 좀 달랐지만, 득표율은 어쩌면 이렇게 정확할까? 자로 잰 듯.] 반면, 박 후보는 권역별 경선이 연기된 사이 전국 곳곳을 누비면서 인지도를 쌓은 만큼 역전승이 가능하다고 강조합니다. [박찬대 / 민주당 당 대표 후보: 숫자에 잡히지 않는 결심, 조용히 번져가던 마음이 지금 골든 크로스를 만들고 있습니다.] 막바지 선거 전략도 뚜렷하게 갈립니다. 정 후보는 수해와 산업재해 예방 관련 법안을 잇달아 발의하며 '일하는 당 대표'로 막판 스퍼트를 내고 있고, 박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를 막아선 국민의힘 의원들 제명 촉구안을 발의하는 등 맹렬하게 싸우는 이미지로 뒤집기를 노립니다. '원샷 경선'으로 바뀐 탓에 성적표도 못 보고 2주간 달린 두 후보, 이재명 정부의 첫 여당 대표는 누가 될 바다 사막화의 주범으로 여겨지는 불가사리를 잡아먹어 ‘생태계의 수호자’로 불리는 나팔고둥이 ‘8월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선정됐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제공 해저가 황폐해지는 ‘바다 사막화’의 주범으로 여겨지는 불가사리를 잡아먹어 ‘생태계의 수호자’로 불리는 나팔고둥이 ‘8월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선정됐다. 나팔고둥은 과거 아름다운 껍데기와 풍부한 육질로 관상용·식용으로 인기를 끌었는데, 남획으로 개체 수가 급감해 현재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어 있다.31일 환경부는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대형 연체동물인 나팔고둥을 ‘이달의 야생생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나팔고둥이란 이름은 과거 조선 시대 왕실 행차나 군대 행진 때 사용되던 전통악기 ‘나각’이 이 고둥의 껍데기를 활용한 데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다.나팔고둥 성체 크기는 껍데기 높이(각고) 약 22㎝, 폭(각경)은 약 10㎝로 우리나라 고둥류 가운데 가장 크다. 껍데기는 단단하고 두꺼우며 표면은 황백색 바탕에 적갈색 무늬가 불규칙하게 퍼져있는데, 몸체 밖으로 나오는 각구(고둥류 연체동물 몸체가 껍데기 밖으로 나오는 부분) 부분에 흑갈색 띠무늬와 주름, 백색 돌기가 뚜렷하게 나타나 다른 식용 고둥류와 구별된다. 불가사리는 별다른 천적이 없어 바다 사막화의 요인으로 꼽히는데, 나팔고둥은 하루에 한 마리 이상의 불가사리를 포식해 해양생태계의 먹이 사슬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립생태원 제공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남해안 연안의 수심 20~200m 사이에 주로 분포하고, 낮은 수심에서는 암반 위에서 주로 관찰된다. 자웅이체로 암수가 나뉘어 있지만 맨눈으로 구별하기는 어렵다. 체내수정을 하고 산란은 12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 이뤄진다.불가사리에 잡아먹히는 다른 고둥류와 달리 나팔고둥은 불가사리를 주요 먹이원으로 하며, 제주도에서는 빨강불가사리를 주로 잡아먹는다. 불가사리는 별다른 천적이 없어 바다 사막화의 요인으로 꼽히는데, 나팔고둥은 하루에 한 마리 이상의 불가사리를 포식해 해양생태계의 먹이 사슬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왼쪽위부터 나팔고둥, 각시수염고둥, 관절매물고둥, 매끈이고둥. 나팔고둥은 각구에 흑갈색 띠, 주름, 백색 돌기가 명확해 다른 고둥과 구별된다. 국립생물
평택입주청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