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김수민 시사평론가 · 윤주진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작성일25-08-01 05:41 조회37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쿠팡퀵플렉스
<출연 : 김수민 시사평론가 · 윤주진 국민의힘 미디어특위 위원>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전격 타결됐습니다.한국의 상호관세율은 25%에서 15%로 인하됐고 우리는 미국에 3,500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487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습니다.자세한 내용 김수민 시사평론가, 윤주진 국민의힘 미디어특위 위원 두 분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질문 1> 관세 부과 시한 하루 전 극적 타결이 이뤄졌습니다. 미국과 줄다리기 협상 끝에 상호 관세는 15%, 자동차와 부품 관세는 일본과 동일한 15%로 인하됐고, 반도체와 의약품 등 품목 관세도 이른바 '최혜국 대우'를 약속받았습니다. 협상단은 '상호 호혜적' 결과라고 평가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질문 2> 구윤철 경제부총리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등 협상팀이 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만나 관세협상을 타결했는데요. 협상단을 이끈 구윤철 경제부총리의 발언부터 들어보시죠.<구윤철 /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그간 많은 국민들께서 우려하셨던 바와 같이 농축산물에 대한 미측의 비관세 장벽 축소 및 시장 개방 확대가 강하게 있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오늘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도 과채류에 대한 한국의 검역 절차에 대해서 문의하며 많은 관심을 표명하였습니다. 그러나 우리 협상단의 끈질긴 설명 결과, 미측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이해하고 추가적인 시장 개방은 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하였습니다."<질문 2-1> 특히 농축수산물 시장 개방 문제는 협상의 중요한 쟁점이었는데요. 협상단이 농업 민감성을 강조한 결과 추가 개방은 하지 않기로 합의하고 비관세 장벽 관련 논의를 계속하게 됐습니다. 이 부분은 어떻게 보셨습니까?<질문 2-2> 이 대통령이 그동안 공개적 메시지를 자제하며 '전략적 침묵'을 지켰다는 사실도 알려졌어요? 침묵이 유리하다고 판단한 건데 그 이유가 뭐라고 보세요?<질문 3> 관세 협상 타결을 두고 여야의 반응이 엇갈렸습니다. 여야 원내대표 목소리 들어보시죠.<김병기 /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역시 이재명 정부입니다.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는 옳았습<출연 : 김수민 시사평론가 · 윤주진 국민의힘 미디어특위 위원>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전격 타결됐습니다.한국의 상호관세율은 25%에서 15%로 인하됐고 우리는 미국에 3,500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487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습니다.자세한 내용 김수민 시사평론가, 윤주진 국민의힘 미디어특위 위원 두 분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질문 1> 관세 부과 시한 하루 전 극적 타결이 이뤄졌습니다. 미국과 줄다리기 협상 끝에 상호 관세는 15%, 자동차와 부품 관세는 일본과 동일한 15%로 인하됐고, 반도체와 의약품 등 품목 관세도 이른바 '최혜국 대우'를 약속받았습니다. 협상단은 '상호 호혜적' 결과라고 평가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질문 2> 구윤철 경제부총리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등 협상팀이 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만나 관세협상을 타결했는데요. 협상단을 이끈 구윤철 경제부총리의 발언부터 들어보시죠.<구윤철 /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그간 많은 국민들께서 우려하셨던 바와 같이 농축산물에 대한 미측의 비관세 장벽 축소 및 시장 개방 확대가 강하게 있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오늘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도 과채류에 대한 한국의 검역 절차에 대해서 문의하며 많은 관심을 표명하였습니다. 그러나 우리 협상단의 끈질긴 설명 결과, 미측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이해하고 추가적인 시장 개방은 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하였습니다."<질문 2-1> 특히 농축수산물 시장 개방 문제는 협상의 중요한 쟁점이었는데요. 협상단이 농업 민감성을 강조한 결과 추가 개방은 하지 않기로 합의하고 비관세 장벽 관련 논의를 계속하게 됐습니다. 이 부분은 어떻게 보셨습니까?<질문 2-2> 이 대통령이 그동안 공개적 메시지를 자제하며 '전략적 침묵'을 지켰다는 사실도 알려졌어요? 침묵이 유리하다고 판단한 건데 그 이유가 뭐라고 보세요?<질문 3> 관세 협상 타결을 두고 여야의 반응이 엇갈렸습니다. 여야 원내대표 목소리 들어보시죠.<김병기 /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역시 이재명 정부입니다.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는 옳았습니다. 이번 협상을 통해 한미
쿠팡퀵플렉스
<출연 : 김수민 시사평론가 · 윤주진 국민의힘 미디어특위 위원>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전격 타결됐습니다.한국의 상호관세율은 25%에서 15%로 인하됐고 우리는 미국에 3,500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487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습니다.자세한 내용 김수민 시사평론가, 윤주진 국민의힘 미디어특위 위원 두 분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질문 1> 관세 부과 시한 하루 전 극적 타결이 이뤄졌습니다. 미국과 줄다리기 협상 끝에 상호 관세는 15%, 자동차와 부품 관세는 일본과 동일한 15%로 인하됐고, 반도체와 의약품 등 품목 관세도 이른바 '최혜국 대우'를 약속받았습니다. 협상단은 '상호 호혜적' 결과라고 평가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질문 2> 구윤철 경제부총리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등 협상팀이 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만나 관세협상을 타결했는데요. 협상단을 이끈 구윤철 경제부총리의 발언부터 들어보시죠.<구윤철 /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그간 많은 국민들께서 우려하셨던 바와 같이 농축산물에 대한 미측의 비관세 장벽 축소 및 시장 개방 확대가 강하게 있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오늘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도 과채류에 대한 한국의 검역 절차에 대해서 문의하며 많은 관심을 표명하였습니다. 그러나 우리 협상단의 끈질긴 설명 결과, 미측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이해하고 추가적인 시장 개방은 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하였습니다."<질문 2-1> 특히 농축수산물 시장 개방 문제는 협상의 중요한 쟁점이었는데요. 협상단이 농업 민감성을 강조한 결과 추가 개방은 하지 않기로 합의하고 비관세 장벽 관련 논의를 계속하게 됐습니다. 이 부분은 어떻게 보셨습니까?<질문 2-2> 이 대통령이 그동안 공개적 메시지를 자제하며 '전략적 침묵'을 지켰다는 사실도 알려졌어요? 침묵이 유리하다고 판단한 건데 그 이유가 뭐라고 보세요?<질문 3> 관세 협상 타결을 두고 여야의 반응이 엇갈렸습니다. 여야 원내대표 목소리 들어보시죠.<김병기 /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역시 이재명 정부입니다.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는 옳았습<출연 : 김수민 시사평론가 · 윤주진 국민의힘 미디어특위 위원>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전격 타결됐습니다.한국의 상호관세율은 25%에서 15%로 인하됐고 우리는 미국에 3,500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487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습니다.자세한 내용 김수민 시사평론가, 윤주진 국민의힘 미디어특위 위원 두 분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질문 1> 관세 부과 시한 하루 전 극적 타결이 이뤄졌습니다. 미국과 줄다리기 협상 끝에 상호 관세는 15%, 자동차와 부품 관세는 일본과 동일한 15%로 인하됐고, 반도체와 의약품 등 품목 관세도 이른바 '최혜국 대우'를 약속받았습니다. 협상단은 '상호 호혜적' 결과라고 평가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질문 2> 구윤철 경제부총리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등 협상팀이 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만나 관세협상을 타결했는데요. 협상단을 이끈 구윤철 경제부총리의 발언부터 들어보시죠.<구윤철 /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그간 많은 국민들께서 우려하셨던 바와 같이 농축산물에 대한 미측의 비관세 장벽 축소 및 시장 개방 확대가 강하게 있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오늘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도 과채류에 대한 한국의 검역 절차에 대해서 문의하며 많은 관심을 표명하였습니다. 그러나 우리 협상단의 끈질긴 설명 결과, 미측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이해하고 추가적인 시장 개방은 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하였습니다."<질문 2-1> 특히 농축수산물 시장 개방 문제는 협상의 중요한 쟁점이었는데요. 협상단이 농업 민감성을 강조한 결과 추가 개방은 하지 않기로 합의하고 비관세 장벽 관련 논의를 계속하게 됐습니다. 이 부분은 어떻게 보셨습니까?<질문 2-2> 이 대통령이 그동안 공개적 메시지를 자제하며 '전략적 침묵'을 지켰다는 사실도 알려졌어요? 침묵이 유리하다고 판단한 건데 그 이유가 뭐라고 보세요?<질문 3> 관세 협상 타결을 두고 여야의 반응이 엇갈렸습니다. 여야 원내대표 목소리 들어보시죠.<김병기 /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역시 이재명 정부입니다.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는 옳았습니다. 이번 협상을 통해 한미
쿠팡퀵플렉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