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와 환경부가 공동으 > 온라인상담

비수술 통증. 재활.체형 클리닉
진료시간 평일 AM 9:30 ~ PM 7:30  (야간진료 : 09시 ~ 08시30분) / 토요일 AM 9:00 ~ PM 2:00 / 대표번호 02-383-8277



  • HOME
  • 고객센터
  • 갤러리

국방부와 환경부가 공동으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작성일25-09-19 04:57 조회11회 댓글0건

본문

김포어린이치과
국방부와 환경부가 공동으로 실시한 ‘군부대 환경교육분야 직무역량강화 교육’ 수료자들이 17일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환경보전원 제공. 국방부와 환경부가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환경 직무교육을 통해 군의 지속 가능한 관리 체계 구축에 나섰다.양 부처는 지난 15일부터 17일까지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육·해·공군 및 해병대 간부를 대상으로 환경 직무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환경부(장관 김성환)와 국방부(장관 안규백)가 협력해 군 환경 직렬 간부들의 실무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진행한 ‘환경교육 전문 인력 양성사업’의 일환이다. 2차 교육은 오는 9월 22일부터 24일까지 같은 장소에서 열릴 예정이다.교육 과정은 군부대 내 ▲오·폐수 처리 시설 및 토양 오염 복원 ▲생활·음식물 폐기물 처리 ▲대기 배출 시설 관련 법령 ▲플라스틱 규제와 자원화 정책 등 환경 관리 전반을 다뤘다. 또 참가자가 직접 환경교육 콘텐츠를 기획·제작하는 실습을 포함해 실효성을 높였다.강사진으로는 군에서 37년간 근무한 이갑상 신경주대 재난안전과 교수, 대전대 김태응 교수, 탄소중립교육연구소 정종영 대표 등이 참여했다. 이 교수는 “군 환경안전은 단순 행정이 아닌 장병의 건강과 생존에 직결된 필수 요소”라며 “물·공기·토양·디지털 기술은 장병의 현재와 미래를 지탱하는 4대 축”이라고 강조했다. 군 환경 직무교육에 참여한 간부들이 16일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조별 토론을 하며 AI 기반 환경교육 콘텐츠 기획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한국환경보전원 제공. 정 대표는 “올해 발표될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따라 군 부대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라며 “환경 담당자들의 전문성이 더욱 요구된다”고 말했다.이번 교육의 가장 큰 특징은 AI와 디지털 기술을 접목했다는 점이다. 참가자들은 AI 기반 환경 분석 도구와 영상 제작·활용법을 실습하며, 향후 부대 단위 환경교육과 보고 체계에 적용할 역량을 키웠다. 이는 군 교육 체계가 환경과 디지털 전환을 동시에 추진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교육에 참여한 한 간부는한반도가 지구 평균보다 훨씬 빠르게 달궈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한반도의 극한 고온 현상은 인간 활동이 원인이라며 탄소배출을 급격히 줄이지 않으면 2100년까지 폭염일은 지금보다 9배, 열대야일은 21배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환경부와 기상청은 18일 이런 내용이 담긴 ‘한국 기후위기 평가보고서 2025’를 공개했다.전문가 112명이 2020~2024년 발표된 2000여편의 국내외 논문과 연구 결과를 분석·평가한 결과, 한반도는 기후변화로 인해 폭염 등 기상재해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2015~2024년 연간 폭염일수 평균값은 15.6일로 역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연구진은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무더웠던 2018년 폭염은 인위적 온실가스 배출에 의해 발생 확률이 4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지난해와 2023년 한반도 연평균 기온은 각각 14.5도와 13.7도로 역대 1~2위를 기록했다. 최근 들어 온난화 추세는 더 강화됐다. 1912~2024년 기온 상승률은 10년 평균 0.21도로, 2017년까지의 기온 상승률(0.18도/10년)보다 높았다.주변 바다도 빠른 속도로 따뜻해졌다. 남한 주변 해양 표층수온은 1968~2024년 1.58도 상승, 전 지구 평균인 0.74도의 두 배를 웃돌았다. 해수면도 빠르게 상승했다. 1993~2018년 남한 주변 해수면은 해마다 3.6㎜ 상승해 전 지구 평균인 3.4㎜보다 높았다. 해양열파(고수온) 발생 횟수와 발생 일수도 전 세계 10위 안에 들 정도로 증가했다. 1982~2020년 동해에서 해양열파 현상은 해마다 1.97회, 12.1일 관측됐다.탄소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에너지를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전환하지 못하면 한국은 연평균 기온이 2000~2019년(11.9도) 대비 2040년까지 1.4도, 2081~2100년에는 6.3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2000~2019년 연평균 8.8일이던 폭염일수는 2040년 17.8일, 2100년 79.5일로 기존 대비 9배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열대야일수 역시 2040년 15.4일, 2100년 68.4일로 급증할 것으로 분석됐다. 극한 호우 잦아지고 산불 피해 넓어져…기후재난 위험 커진다 남해 주변 해양 표층수온 1.58도 올라…전 지구 평균의 두 배 웃돌아 고수온 발생일 세계 10위
김포어린이치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연세척척재활의학과의원 / 대표자명:최현석 원장 / 사업자등록번호 : 210-91-48706 / 서울시 강동구 양재대로 1479 (길동, MS프라자) 2층 / Tel.02-473-7533 로그인
copyright (C) 2015. painstop.co.kr.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강동구 양재대로 1479 (길동, MS프라자) 2층 / Tel.02-473-7533 / 연세척척재활의학과의원
copyright (C) 2015. painstop.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