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소 커피를 아메리카노로 드시는 분들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작성일25-06-18 07:44 조회45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 평소 커피를 아메리카노로 드시는 분들은 상관없지만 저처럼라떼를 주로 드시는 분들은 '블론드'로 바꿔 주세요!e-스티커를 한 번에 14개 채울 수 있는 스타벅스 프리퀀시 꿀팁!'기프티스타'앱에서저렴한 기프티콘부터 사기!쪼르륵~ 골고루 얼음팩에 담아 줍니다. 칸이 작고 총 35개 큐브로 얼릴 수 있는 얼음팩에 담았습니다.6. 차액은 스벅 카드로 결제14잔의 에스프레소는 얼려서친한 동생 피셜 라떼로 먹을 땐 블론드가 가장 맛있대요! 그리고골드 등급부터는 프리 엑스트라 샷 추가는 무료이니 샷 추가도 꼭 하시고요!(대신 한 잔당 44ml가 되니 텀블러는 두 개를 챙겨가시거나 큰 사이즈로 챙겨 가야 함!)- 전 할인이 되는 신용카드가 있어서 천원 할인받고 스벅 카드를 충전하고 차액을 결제했어요. 천 원도 절대 놓칠 수 없음 ㅋㅋ그래서유리컵에 큐브 2개를 담아서 전자레인지 해동 기능으로 살짝 녹여서 흔들 흔들 해줍니다.보통 9~8% 저렴한 가격으로 기프티콘을 살수 있어요.참고로 한번 결제 시 기프티콘은 최대 3개까지만 쓸 수 있어서 토탈 금액을 2만 원대나 적어도 만원 이상인 제품으로 사시는 게 좋아요.8. 에스프레소 14잔 한 번에 수령쏘옥~ 들어갑니다.2. 라떼를 즐겨 먹는 사람이라면 커피 원두를 '블론드'로 선택하는 게 좋다.요로코롬 스벅 앱안에 저렴하게 구매한 기프티콘이앱 > 로그인 > 메인 커피 탭 > 스벅 선택 > '높은 할인순'으로 진열순 선택 > 할인율은 높으면서 앱 사용 가능한 기프티콘으로 구매 > 모바일 갤러리로 기프티콘 이미지 다운로드- 커피를 못 드시는 분들이라면 '우유'를 Short 사이즈로 14잔 주문하셔도 돼요! (근데 총용량이 3,000ml가 넘어갈 정도로 많아서 솔직히 비추)3. 얼려 놓은 에스프레소는 맛이 변하기 전인 일주일 안에 먹는 게 좋다.그 상태로얼음을 넣은 우유에 넣으면 아이스 카페라떼가 됨! 심지어 스벅에서 먹던 맛과 거의 동일함! 이렇게 총 17잔의 라떼를 타먹을 수 있습니다.미션 음료 3잔까지 먹고 나니 스벅 프리퀀시를 다 모았어요! 지금 수령품을 예약해놓은 상태예요.(다음 포스팅엔 수령품 후기를 적을게요.) 제품 동나기 전에 스타벅스 프리퀀시 에스프레소 신공을 쓰길 잘했다 싶네요.자세한 설정 방법은 아래 글의 3번 부분을 참고하시면 돼요.3. 개인컵 사용하기, 14잔 선택“전 정부는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미국에 ‘올인’했다. 큰 맥락에서 한·미동맹을 최우선으로 하되 중국, 북한, 러시아 등과의 관계 개선도 필요하다.” 12·3 비상계엄 사태 후 6개월 동안 동면한 정상 외교가 이재명정부 출범과 동시에 기지개를 켜고 있다. 이 대통령이 취임 후 불과 10여일 만에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한 것은 한국 외교의 정상화를 전 세계에 알린 신호탄이라 하겠다. 격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새 정부의 외교 정책은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까. 신봉길(70) 한국외교협회장은 정책의 ‘연속성’과 ‘변화’를 나란히 주문했다. 한·미동맹을 중시하는 기조는 계속 이어감과 동시에 윤석열정부를 거치며 사이가 나빠진 나라들과의 외교에선 관계 회복을 위한 노력이 불가피하다는 의미다. 주인도 대사를 역임한 신봉길 한국외교협회장은 세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인도는 장차 중국을 대체할 생산 기지 겸 시장이자 글로벌 사우스(개발도상국)의 맹주”라면서 새 정부를 향해 “인도와의 관계를 중시해야 하며, 그를 위해 문재인정부 때의 ‘신남방 외교’ 정책 부활도 검토할 만하다”고 조언했다. 이재문 기자 서울대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78년 외무고시(12회)에 합격해 외교부에 들어간 신 회장은 주유엔 대표부, 주일 대사관 등에서 일하고 주중 대사관 공사와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장을 지냈다. 문재인정부 시절인 2018년 1월 주인도 대사로 임명돼 2021년 6월까지 근무하는 것으로 외교관 생활을 마무리했다. 지금은 전·현직 외교관 등 2000여명이 회원으로 활동 중인 한국외교협회를 이끌고 있다. 지난 12일 서울 서초구 한국외교협회 사무실에서 신 회장과 만나 한국 외교의 과제 등을 주제로 대화를 나눴다. 다음은 일문일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후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얘기가 많이 나온다.“주한미군은 대북 억제보다는 대중 견제 성격이 더 강한 것으로 봐야 한다. 대만해협에서 분쟁이 일어나면 주한미군이 자동으로 개입하는 것을 전제로 한 시나리오도 이미 만들어져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전략적 유연성에 너무 민감해할 필요는 없다. 분쟁에 말려드는 경우에 대비해 한국군에 대한 전시 작전통제권은 우리가 가지는 것이 옳다.”―미국과의 관세 협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