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슷한 이름은 가진 칼국숫집들이 많아 첫 방문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작성일25-05-20 04:46 조회176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비슷한 이름은 가진 칼국숫집들이 많아 첫 방문이라면 내비에 정확한 정보 입력이 필요합니다. 이 근처만 하더라도 거의 같은 메뉴에 지명도에서도 전혀 뒤지지 않는 또 다른 이름(전라도손팥칼국수)의 식당도 있거든요.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어디에서는 칼국수를 넣은 팥칼국수를 '팥죽', 진한 팥국물에 새알을 넣어 만든 것은 '동지죽'이라고 따로 구별해서 부르기도( 그 반대인 경우도 있고...) 하는데 여기는 '팥칼국수'와 '팥새알'로 구분해서 판매합니다.실내 풍경입니다. 토속적 느낌 물씬 나는 내외관을 갖추고 있는 집이에요. 신발을 신고 오르는 구조입니다. 바닥에 잔상처가 생가지 않도록 덧신을 신겨 놓았네요.^^김치 올려서 맛있게....다가 더 문제는 칼국수가 조금 불기도 하고 그러다 보면 국물이 모자라는 경우도 발생합니다.더운 날에는 팥빙수가 잘 어울리기는 하지만 팥칼국수도 나쁘지 않아요. 특히 비라도 부슬부슬 내리는 날이라면 더욱 안성맞춤이죠. 모르긴 해도 독특한 붉은색이 나쁜 기운을 물리친다고 하니 팥죽이 들어간 새알심이나 칼국수로 잔병 없는 건강한 한 해를 소원하는 것도 나름 괜찮을 법하고, 특히 해산물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산더미처럼 쌓은 바지락칼국수로 한 끼 해결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무튼 안양, 의왕, 수원, 분당, 판교 일대를 근거로 생활하거나 이 방면으로의 나들이를 염두에 두고 있다면 의왕 '전라도팥바지락칼국수'를 한번 찾아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잘 먹었습니다.팥 칼국수의왕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곳은 의왕시 청계동에 위치한 '전라도팥바지락칼국수'입니다. 긴 이름에 나와있는 것처럼 팥칼국수와 바지락칼국수를 주력 메뉴로 하는 집이에요. 판교, 과천, 의왕, 안양 일대의 주민들이 찾기 좋은 위치로 인덕원, 학의JC, 북의왕IC 인근입니다.경기도 의왕시 안양판교로 379주차 가능얘는 반찬이라 할 수는 없지만 황설탕도 준비되어 있습니다.산더미처럼 쌓은 바지락과 곱고 담백한 팥죽으로 감싼 칼국수가 맛있는 집실내 풍경잠시 기다린 끝에 받아본 바지락 칼국수입니다.바지락 칼국수경기 의왕시 안양판교로 379(청계동 534)그런데 바지락 칼국수를 먹을 때는 조금의 고민이 필요합니다. 먼저 다 깐 다음에 먹을 건지 아니면 칼국수부터 먹으면서 그때 그때 조금씩 까 먹을 건지 말이죠.뭐 이 정도면 산더미 바지칼 칼국수라 불러도 될 듯합니다. 물론 오래전이기는 하지만 이보다 더 많이 주는 집들도 여러 차례 경험해서인지 그리 놀랍지는 않네요.주말에는 브레이크 타임이 없습니다.#의왕맛집#의왕바지락칼국수#의왕칼국수#의왕팥칼국수#전라도팥바지락칼국수#아포의맛집#아포의맛집탐방#팥칼국수#바지락칼국수0507-1430-5801바지락 칼국수를 찾는 이유는 바로 이 그림이 그리워서이죠.외관비교적 널찍한 주차장을 확보하고 있으며 주차 안내해주시는 분이 있어 보다 편한 주차가 가능합니다.기본 찬이번에는 팥 칼국수입니다.⌚매일 10:00-21:00 / 15:00-16:30 브레이크타임(주말, 공휴일 제외) / 20:30 라스트오더 / 매주 월요일 정기 휴무쫄깃 두툼한 면발이 좋습니다. 따로 간은 필요 없을 듯합니다. 자체 간이 된 편이에요. 그래도 삭힌 고추지 정도는 있어줘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양이 제법 되죠? 바지락 살을 모두 발라내려다보면 은근 힘이 들어요.ㅎ..[앵커]계엄 사태를 지나고 맞은 올해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은 여러 면에서 되새겨볼 것들이 많았습니다.5·18의 참상이 아직 남아있는 병원이 임시 개방되기도 했는데, 밀착카메라 이가혁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기자]지난해 겨울, 45년 만에 다시 등장한 '계엄령', '계엄군'.고등학생 때 5·18을 겪은 광주 시민 김용희 씨에게 12·3은 곧 5·18이었습니다.[김용희/5·18 당시 고교생 : (작년 12월 3일) 속보가 뜨더라고. 그래서 봤는데 머리가 휑하죠. 바로 5·18 생각이 나니까. 이건 있을 수도 없는 일이고…]되살아난 비극.하지만 동시에 힘을 얻었다고 합니다.[김용희/5·18 당시 고교생 : {5·18 때도 선생님처럼 시민들이 계엄군과 맞서 싸웠고…} 그렇죠. {12·3 내란 사태 때 국회 앞에서도…} 그렇죠. 나는 정말 감명받았어요. 그 용감한 시민들… 정말 대단하죠. 총 든 계엄군들 앞에서.]이 낡은 건물은 5·18 당시 전남도청에서 가장 가까운 병원이었습니다.아픔이 서려있는 곳이자, 시민의식이 빛났던 곳, 바로 옛 광주적십자병원입니다.이곳엔 당시 응급실 모습이 비교적 잘 보존돼 있습니다.1980년 5월 21일 계엄군이 집단 발포를 시작하자 이곳엔 총상을 입은 시민들이 계속해서 밀려왔다고 합니다.그 수가 워낙 많다 보니까 저 응급실을 넘어서 이 복도와 그리고 다른 진료실까지 피 흘리는 시민들과 의료진이 뒤엉켜 사투를 벌여야 했습니다.이런 비극적인 순간에도 광주 시민들은 서로를 도왔습니다.피가 모자라다 헌혈이 필요하다. 이 소식을 들은 젊은이와 어르신까지 시민들이 모여서 이렇게 자신의 피를 나눴습니다.2014년 문을 닫은 후 11년 만에 이번달까지만 잠시 개방됩니다.오늘날의 우리에게 '잊지 말라'고 당부하는 듯합니다.[이윤주/서울에서 5·18 맞아 광주 방문한 시민 : {살면서 내가 계엄령을 겪을 거다?} 전혀 생각을 못 했죠. 아무래도 민주화가 됐고 계속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거라고 생각을 했는데, 그걸 겪고 나서 다시 오니까 '진짜 정말 잊어서는 안 되는 역사구나' 그런 생각을 했어요.][최동환/오월 안내해설사 : 특히 12·3 사태 이후에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관심이 예전보다도 훨씬 폭넓게 올라가다 보니까 특히 외지 손님들도 많이 오십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